사이트 전체 검색영역
  • Twitter
  • Facebook
  • YouTube
  • blog

전세계 40여개 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KOFICE 통신원들이 전하는 최신 소식입니다.

각 국에서 사랑받고 있는 한류소식부터 그 나라의 문화 소식까지 매일 매일 새롭고 알찬 정보를 제공합니다.

인도네시아 국립대학생들이 꼽은 ‘다시보고 싶은 최고의 한국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 [등록일] 2006-03-08
  • [조회]4578
 

- 인도네시아 국립대학 중앙도서관, 월 1회 한국영화 감상 시간 가져
KOICA는 2000년 초부터 지금까지 매월 둘째 주마다 자카르타의 위성도시인 데뽁(Depok)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국립대학 중앙도서관에서 한국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명문 대학 캠퍼스에서 매달 한 번씩 한국영화를 정기적으로 상영하는 일은 매우 드물다.
 
이러한 한국영화 상영 덕분에 인도네시아 대학생들이 한국문화를 조금씩 이해하고 있다. 아직도 인도네시아 국민들은 한반도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남/북한을 구별하지 못하고 있다. 비록 영화를 감상하는 대학생들의 숫자가 적다고 할지라도, 이들은 한국인의 사회생활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이 한국문화를 소개할 기회를 맞았을 때, 보다 더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지난 해 6월, 인도네시아 국립대학 문과대학에서는 8편의 한국영화를 나흘 동안 상영하여 성황리에 행사를 마쳤다. 이 활동 역시 KOICA와 문과대학內 예술 문화 개발 연구소와의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영화 상영 기간 내내 한국 학생들은 한국영화에 대해 엄청난 관심과 환영을 보냈다. 특히 <태극기 휘날리며>는 학생들의 요청에 의해 재상영됐다. 이와 같이 좋은 영화는 누구나 좋아하는 법이다. 또한 이런 행사는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한류를 가속화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 한국 만화/애니메이션 한류는 아직 미약한 편.
세계의 만화영화 발전사에 비하면 인도네시아에서의 만화영화 발전은 미약한 편이다. 그나마 요즘 들어 많이 활성화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초보 단계이다. 인도네시아의 애니메이션 기술은 60-70 년대에 인기를 누렸던 만화책을 만화영화화는 단계에서 시작했다.

미국이나 일본은 예전부터 애니메이션에 많은 관심과 투자를 하여 90년대부터는 이들 국가의 작품이 전 세계로 수출됐다.  예를 들어 미국의 배트맨, 스파이더맨, 헐크, 슈퍼맨은 만화를 원작으로 하여 영화화한 작품들이며, 이런 작품은 대대적인 성공을 거뒀다. 이런 시도는 신데렐라, 백설 공주 같은 동화 혹은 고전 이야기 분야로까지 확대됐다. 미-일의 만화영화 혹은 만화책은 인도네시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인도네시아 TV에서도 방영했으며 80년대부터 지금까지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는 만화영화는 ‘Doramon’과  ‘Shubbasa 선장’이다. 아쉽게도 아직 한국에서 제작한 만화영화는 한 편도 인도네시아 공중파 방송인 TV를 통해 방영된 적은 없다.

한국의 만화가 인도네시아에 소개된 것은 90년대 말 <둘리(김수정 원작)>가 최초였다. 인도네시아 대형출판사인 <Gramedia> 출판사에 의해 수입되었으나 당시 한국의 IMF 금융위기와 한류의 미미한 영향으로 인해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한국 만화를 일본 것 혹은 국적 불명의 만화로 인식했다. 한국의 만화 주인공들의 캐릭터 문구류가 인도네시아에 대다수 존재하지만, 인도네시아 대다수의 국민들은 이것이 한국 상품이란 것 자체를 모르고 있다.

그나마 드라마 <가을동화>를 계기로 대중 번역 소설이 인도네시아 서점가에 등장하며, 한국의 그림동화까지도 소개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대형 출판사 <Erlangga>에서는 이런 한류 열풍을 계기로 ‘조은숙’의 그림 동화 <Toko Sepatu Ayah (아버지의 구두 방)>, <Adikku Choco>, <내동생 꼬고>, <Anak Si Kiki (끼끼의 동생)> 4권과 전 세계 위인전들의 내용으로 구성된 <나의 이야기 책 (My Story Book)>을 출판했다. 그러나 한국의 만화/애니메이션이 인도네시아에 소개되고 있는 것은 아주 미미하다.

통신원이미지

  • 성명 : 장은희[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인도네시아/자카르타 통신원]
  • 약력 : 계명대 미대 졸 한국어 강사 양성과정 수료 1987년 이후 인니거주(학원 경영 및 한국어강사) 현재) 국립 인도네시아 대학교 문과대 외국어교육센터 한국어 담당강사
  •  
  •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  
  • 덧글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