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전체 검색영역
  • Twitter
  • Facebook
  • YouTube
  • blog

전세계 40여개 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KOFICE 통신원들이 전하는 최신 소식입니다.

각 국에서 사랑받고 있는 한류소식부터 그 나라의 문화 소식까지 매일 매일 새롭고 알찬 정보를 제공합니다.

말레이시아에서의 K-사진문화

  • [등록일] 2025-01-19
  • [조회]701
 

한국의 무인 사진관이 말레이시아에서 새로운 문화로 주목받고 있다더 필름(The Flim), 인생네컷(Life4cuts), 등 한국의 대표 무인 사진관 업체뿐만 아니라 현지 무인 사진관 업체까지 등장하며 K-포토부스는 말레이시아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은 모습이다K-포토부스가 인기를 끄는 주요 요인은 케이팝 아이돌과 함께 찍은 것처럼 사진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024 1월 미드 벨리 사우스키(Mid Valley Southkey) 쇼핑몰에 첫 매장을 연 더 필름은 박지훈방예담선우엑소(EXO), 정한 등 유명 남자 아이돌 프레임 배경을 전면에 내세웠다더 필름은 엘리베이터처럼 꾸민 부스와 레드카펫 포토존 등도 마련해 말레이시아에서 운영하는 점포는 2025 1월 기준 4곳으로 늘었다. 2024 12월 거니 파라곤 쇼핑몰(Gurney Paragon Mall)에 들어선 인생네컷도 인피니트지코보이넥스트도어(BOYNEXTDOOR)  케이팝 아이돌 포토 프레임을 내세웠다여기에 더해 <열혈사제2>, <오징어 게임> 시즌 2 등 유명 K-드라마 IP 포토 프레임을 선보여 한류 소비층을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말레이시아 누리꾼들은 소셜미디어에 "인스타 사진을 찍기 완벽한 장소야!(@alievamimakeup.lab)", "보이넥스트도어라니너무 기뻐서 울 것 같아.(@m4y408)" 등의 글을 공유하며 다양한 프레임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말레이시아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무인 사진관 - 출처: 통신원 촬영 >

 

한국 무인 사진관 업체가 젊은 세대에게 큰 인기를 끌자 현지 업체도 새로운 사진 경험을 제공하며 매장을 늘리고 있다. IP 마케팅을 펼치기 어려운 현지 업체들은 접근성을 무기로 삼았다한국식 무인 사진관을 표방한 현지 업체 스냅--!(Snap-a-boo!)는 한국 업체보다 저렴한 가격(15링깃~20링깃 4,800원~ 6,500)을 내세웠다이는 인생네컷 금액(20링깃~26링깃 6,500~7,400)보다 낮아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다또한 말레이시아에 3개 지점을 둔 세이 치즈 포토 스튜디오(Say Cheese Photo Studio)는 한복 등 한국 소품을 구비하는 전략을 구사했다이들 매장은 다양한 디자인의 한복을 마련하고 한국 전통문양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세이 치즈 포토 스튜디오는 한국문화를 사랑하는 현지인들이 가족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곳으로 인기다.

 

한복과 한국 전통문양 프레임을 내세운 현지 무인 사진관 브랜드 - 출처세이 치즈 포토 스튜디오 인스타그램 계정 >

 

이처럼 K-포토부스는 한류 주요 소비자인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에 관심이 있는 남녀노소 모두를 아우르며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특히 한국의 무인 사진관 브랜드는 케이팝한국 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 프레임으로 놀이문화와 한국 콘텐츠를 접목한 새로운 차원의 한류로 매장을 성공적으로 늘리고 있는 모습이다또한 한국 한복과 전통문양을 프레임으로 내세운 현지 무인 사진관 브랜드에도 주목하게 된다. 한국의 사진문화는 한류 수용도가 높은 국가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국가별로 사진문화를 재해석하는 방식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KOFICE 해외통신원 리포트에 따르면 필리핀에서 100일 잔치와 돌잔치 사진을 촬영하는 한국문화가 일상 속에 스며들었다. 반면 말레이시아에서는 사진관보다는 무인 사진관에서 한류를 접목한 새로운 놀이문화를 일상 속에서 접할 수 있게 됐다. 이처럼 국가별로 한국의 사진문화를 받아들이는 방식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한류라는 문화적 현상이 수용되면서 재해석되고 재창조되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말레이시아에서 한국 콘텐츠가 무인 사진관과 연계된 젊은 세대의 문화로 이어지고, 남녀 무관하게 한국문화를 즉석 사진관에서 즐기는 현상은 결국 한류의 지평이 무궁무진하게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통신원 촬영

인생네컷 말레이시아 인스타그램 계정(@life4cuts.my), https://www.instagram.com/life4cuts.my/

더필름 말레이시아 페이스북 계정(@thefilmmalaysia), https://www.facebook.com/thefilmmalaysia/

스냅--인스타그램 계정(@snapaboo), https://www.instagram.com/snapaboo/

세이 치즈 포토 스튜디오 말레이시아 인스타그램 계정(@saycheese_studio.malaysia), https://www.instagram.com/saycheese_studio.malaysia/

- KOFICE 해외통신원 리포트, 백일사진과 돌잔치 촬영이 가능한 필리핀 사진관, https://www.kofice.or.kr/c30correspondent/c30_correspondent_02_view.asp?seq=23846&page=1&find=%EC%82%AC%EC%A7%84&search=&search2=%ED%95%84%EB%A6%AC%ED%95%80

통신원이미지

  • 성명 : 홍성아[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 통신원]
  • 약력 : USM(Universiti Sains Malaysia) 전략적 인적자원관리(SHRM) 박사과정
  •  
  •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  
  • 덧글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