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40여개 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KOFICE 통신원들이 전하는 최신 소식입니다.
각 국에서 사랑받고 있는 한류소식부터 그 나라의 문화 소식까지 매일 매일 새롭고 알찬 정보를 제공합니다.
베트남을 방문한 한국인들은 입을 모아 이야기한다. 한국과 베트남은 비슷한 점이 참 많은 것 같다고. 이는 비단 한국인들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한국에 거주한 경험이 있거나 한국을 방문해 본 베트남 사람들 역시 양국은 참 닮은 점이 많다고 말한다. 처음에는 너무나 다를 것 같던 두 국가였는데 알면 알수록 닮은 점이 너무 많아 처음에는 그 유사성에 매우 놀라면서도, 시간이 지날수록 그 매력에 점차 빠지게 된다고 한다.
「한국과 베트남의 민속문화 비교 연구」라는 논문에 의하면 한국과 베트남의 유사성은 양국 모두 지리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고, 종교적으로는 불교와 유교의 영향을 받은 것에서 파생됐다. 또한 그 배경에는 중국 문화가 자리 잡고 있는데 실질적으로 중국이 두 국가의 문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한다.
먼저 지리적 배경에 의해 나타나는 두 국가의 유사성은 계절이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로 인식돼 사계절 내내 더운 열대성 기후일 것 같지만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는 동아시아에 걸쳐있어 한국처럼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로 구성돼 있다. 베트남 북부 지역에는 겨울이 되면 눈이 내리고는 하는데 이에 많은 베트남 사람들은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눈에 많은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특별한 관광을 위해 스키를 즐기거나, 단풍 나들이를 경험하는 한국 여행을 계획한다고 한다. 실제로 많은 베트남 여행사들은 겨울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스키 시즌를 중심으로 다양한 한국 관광 상품을 기획 및 판매하고 있다.
< 스키를 즐기는 베트남 여행객, 김치 포즈 한 컷 - 출처: 'Laodong.vn' >
또 다른 유사성으로는 가족 간에 다양한 호칭이 있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자신보다 나이 많은 자매나 형제를 '언니' 또는 '오빠'라고 부른다. 이와 같은 호칭만 있다면 어려울 게 없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확장된 호칭이 존재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친언니가 결혼하면 그 남편은 '형부'라고 하고, 오빠의 아내는 '올케언니'라고 부르는 것처럼, 베트남에서도 확장된 호칭이 여럿 존재한다. 가족 관계에서 호칭보다는 이름으로 부르는 서양 문화와는 다르게, 언니를 '찌 어이(Chioui)'라고 하고, 오빠를 '안 어이(Anh oui)'라고, 그들의 배우자를 '찌다우(Chị dâu)' 또는 '안레(Anh rể)'라고 불러야 한다. 이와 같은 호칭 문화는 양국 모두 유교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국의 복잡한 가족 관계를 베트남 사람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실제로 이는 한국 드라마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고 한다.
이외에도 음식 역시 많은 공통점을 지닌다. 조미료 부분에서 특히 그렇다. 거의 모든 베트남 음식에 간장이 첨가되며, 국물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는 오랜 시간 정성을 들인다. 또한 양국 모두 해산물이나 뼈를 넣은 육수가 많은 음식의 베이스가 되는데, 육수를 조리하는 경우 오랜 시간 푹 끓이거나 고아 내어 정성스럽게 준비하고는 한다. 이와 같은 유사성에 베트남 음식은 한국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사랑받고 있다. 사실 한국과 베트남의 음식은 정말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밥과 반찬으로 구성되는 백반이다. 실제로 통신원의 한 베트남 친구는 마치 한국인처럼 반찬이 많은 한국 식당을 선호한다.
< 베트남 쌀국수 국물 만들기 - 출처: 'RecipeTin Eats' >
이외에도 사람이 승천한 날짜에 제사를 지내는 풍습, 최대 명절인 설날, 어른 공경, 한국에서는 지금은 사라졌으나 장자 우선 주위 등 다 언급하기 어려운 정도로 양국은 많은 문화적 유사성을 가진다. 그래서인지 베트남을 여행한 한국인, 베트남 재외동포, 주재원 등 너 나 할 것 없이 베트남을 한 번 방문한 사람이라면 꼭 베트남을 다시 방문하고는 한다. 베트남에 안 가본 한국인은 있어도, 한번 방문한 방문객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는 아마도 눈으로 보이진 않아도 우리도 모르게 느껴지는 알 수 없는 문화적 친근감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실제로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한국인 중 베트남으로 출국하는 비율은 동남아 국가 중 1위이며, 2024년 설에도 베트남은 한국인의 인기 여행지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사진출처 및 참고자료
- 《Laodong.vn》 (2022. 12. 30). Trịnh Thăng Bình khoe ảnh chơi trượt tuyết ở Hàn Quốc, https://dulich.laodong.vn/tin-tuc/trinh-thang-binh-khoe-anh-choi-truot-tuyet-o-han-quoc-1132529.html
- 《RecipeTin Eats》 (2020. 7. 24). Vietnamese Pho recipe, https://www.recipetineats.com/vietnamese-pho-recipe/
- 호티투흐헝 (2018). 「한국과 베트남의 민속 문화 비교 연구」.
- 《디지틀조선일보》 (2024. 1. 25). 설 연휴에 해외로 가장 많이 나가는 여행객 1위 '한국인', https://digitalchosun.dizzo.com/site/data/html_dir/2024/01/25/202401258020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