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전체 검색영역
  • Twitter
  • Facebook
  • YouTube
  • blog

문화산업 현장의 가장 뜨거운 소식을 전문가들이 진단합니다.

우리나라 문화계의 가장 최신 소식부터 흐름 진단까지 재밌고 알찬 정보를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전합니다.

국가수교와 국제 문화교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한다
국가수교와 국제 문화교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한다
2024-03-05
시론① 국제문화교류의 패러다임국가수교와 국제 문화교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한다글 이동연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국제 문화교류의 새로운 지평과 패러다임 전환  2019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은 UN 소속 191개 국가 중 189개국과 수교를 맺고 있다. 수교를 맺지 않은 나라는 쿠바와 시리아인데, 오랜 노력 끝에 2024년 2월 14일 쿠바와 대사급 수교를 맺는 성과를 올렸다. 수교한 국가와 매년 행사를 개최한다면, 매년 190개 국가에서 수교 기념행사가 열릴 것이고 10년 단위로만 한정해도 매년 많은 수교행사가 기다리고 있다. 올해에도 10년 단위 국가 수교국으로 “브루나이”(40주년), “우루과이”(60주년), “라이베리아”(60주년), “이탈리아”(140주년)가 기다리고 있다.  국가수교를 기념하는 행사들에는..
“한국-쿠바 수교, 발렌타인데이의 큰 선물”
“한국-쿠바 수교, 발렌타인데이의 큰 선물”
2024-03-05
“한국-쿠바 수교, 발렌타인데이의 큰 선물”쿠바 한류동호회 아르코르(ARTCOR) 문윤미 임원 단독 인터뷰글·정리 코피스타임스 편집팀양국 수교는 역대 정부와 민간의 노력 결과로 생각해쿠바의 자생적 한류 팬클럽, 총 회원수 만5천명 돌파K-팝 등 한국 연예인 ‘실물 영접’ 희망사항 현실화 기대코피스에 감사, 동호회 지원 사업 중단이라니 큰 충격 지난 2월 14일 미국 뉴욕에서 한국-쿠바 수교가 전격 발표되었다. 김대중 정부 이래 20여년간 역대 정부에서 쿠바 수교에 공을 들여왔던 바, 드디어 결실을 이룬 것이다. 이로써 쿠바는 우리나라의 193번째 수교국이 되었다. 드디어 한국 대(對) 중남미 외교의 마지막 퍼즐을 풀었다는 평가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하 ‘진흥원’)에서는 지난 2월 22일 한국-쿠바 수교 발표에 즈음하여 쿠바 한류커뮤니티 ‘아르..
대중문화에서 생활문화로 퍼져가는 한류
대중문화에서 생활문화로 퍼져가는 한류
2024-03-05
시론② 한류콘텐츠의 방향성대중문화에서 생활문화로 퍼져가는 한류글 하지수 대표 (위드온 뉴스) 한류는 한국의 대중문화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며, 동시에 다양한 국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말한다. 주로 K-팝, 드라마, 영화 등이 해외에서 큰 사랑을 받으며, 한국 콘텐츠가 해외에서 대중적으로 소비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단순히 콘텐츠의 수출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문화 간 교류와 이해를 촉진하여 한국의 산업을 발전시키고 국가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하 '진흥원')의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해외 26개국에서 2만 5000명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콘텐츠 경험에 대한 설문을 진행했다. 조사에 참여한 각국의 경험자들은 자국 내에서의 다양한 K-콘텐츠 분야에서 50%가 넘게 ‘보통..
 검색하기